저드 애퍼타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저드 애퍼타우는 미국의 영화 제작자, 감독, 작가, 배우, 코미디언이다. 1990년대 초 스탠드업 코미디를 시작하여, 《벤 스틸러 쇼》, 《래리 샌더스 쇼》 등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작가와 프로듀서로 활동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영화 제작에 주력하여 《40살까지 못해본 남자》, 《사고 친 놈》, 《슈퍼배드》, 《펀치 드렁크 러브》, 《걸스》, 《트레인렉》 등 다양한 작품을 선보였다. 그는 종종 배우, 가족, 친구들과 함께 작업하며, 특유의 코미디 스타일과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욕주 출신 작가 - 힐러리 클린턴
힐러리 클린턴은 미국의 정치인이자 변호사로, 아칸소주 영부인, 미국의 영부인, 뉴욕주 연방 상원의원, 국무장관을 역임했으며,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출마했다. - 뉴욕주 출신 작가 - 콜린 파월
콜린 파월은 미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 대장까지 진급하여 국가안보보좌관, 합참의장, 국무장관을 역임했으며, 특히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합참의장 및 국무장관으로 알려져 있다. - 퀸스 출신 - 앤드루 쿠오모
앤드루 쿠오모는 뉴욕 주지사를 역임한 미국 민주당 정치인으로, 코로나19 팬데믹 대응과 요양원 사망자 은폐 의혹 및 성추행 혐의로 논란이 되었다. - 퀸스 출신 - 레이 커즈와일
레이 커즈와일은 광학 문자 인식, 음성 합성, 음악 합성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기술적 특이점 이론으로 알려진 미래학자이자 발명가, 작가, 기업가이다. - 미국의 텔레비전 프로듀서 - J. J. 에이브럼스
J.J. 에이브럼스는 《펠리시티》, 《로스트》 등의 TV 드라마와 《미션 임파서블 3》, 《스타워즈》 시리즈 등의 영화를 감독한 미국의 영화 및 텔레비전 감독이자 제작자, 각본가이며, 배드 로봇을 설립하여 복잡한 플롯과 미스터리 요소를 활용한 스토리텔링으로 유명하다. - 미국의 텔레비전 프로듀서 - 댄 슈나이더
댄 슈나이더는 1966년생 미국의 배우, 작가, 프로듀서로, 니켈로디언에서 다수의 인기 어린이 프로그램을 제작했으며 2018년 계약 종료 후 아동 성 학대 의혹으로 논란이 일었다.
저드 애퍼타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직업 | 영화 감독 영화 프로듀서 작가 코미디언 |
출생일 | 1967년 12월 6일 |
출생지 | 미국 뉴욕 |
배우자 | 레슬리 맨 (1997년 6월 9일 결혼) |
자녀 | 모드 애퍼타우 아이리스 애퍼타우 |
활동 기간 | 1985년–현재 |
웹사이트 | juddapatow.com |
학력 | |
모교 |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
주요 작품 | |
감독 | 40세의 virgin 사고친 후에 퍼니 피플 This Is 40 나를 미치게 하는 여자 |
각본 | 케이블 가이 뻔뻔한 딕 & 제인 |
제작 | 괴짜 커플 앵커맨 시리즈 겟 힘 투 더 그릭 탤러데가 나이트: 리키 바비의 발라드 슈퍼배드 파인애플 익스프레스 스텝 브라더스 페널티 파파 브라이즈메이즈 걸스 비긴 어게인 나의 엑스 와이프 빅 식 |
수상 | |
에미상 (버라이어티 또는 뮤직 프로그램 작문 부문 개인 업적상) | 1992년 |
2. 생애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저드 애퍼타우는 뉴욕시 퀸스 자치구의 플러싱에서 태어나 롱아일랜드의 시어셋, 뉴욕에서 자랐다.[7] 아버지는 부동산 개발업자인 모리 애퍼타우[3]이고, 어머니 타마라 섀드는 아버지 밥 섀드가 설립한 음반사 메인스트림 레코드를 운영했다.[5][6] 가족은 유대인이었지만[8][9] 무종교였다.[10] 형제로는 형 로버트와 여동생 미아가 있다.[14][11]애퍼타우가 12살 때 부모가 이혼하면서, 형 로버트는 외조부모와 함께 살았고, 여동생 미아는 어머니와 함께 살았다. 애퍼타우는 주로 아버지와 함께 살았고, 주말에는 어머니를 방문했다. 어머니는 코미디 클럽에서 여름을 보내며 일했는데, 그곳에서 애퍼타우는 처음으로 라이브 스탠드업 코미디를 접하게 되었다.[13]
어린 시절부터 코미디에 깊은 관심을 가졌던 애퍼타우의 영웅은 스티브 마틴, 빌 코스비, 마르크스 형제였다.[14] 롱아일랜드 이스트 사이드 코미디 클럽에서 설거지를 하며 코미디를 시작했고, 시어셋 고등학교 재학 중에는 재즈를 연주했으며[6], 학교의 125와트 라디오 방송국 WKWZ에서 ''코미디 클럽''이라는 프로그램을 진행했다.[15] 그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이 존경하는 코미디언들을 만나고 배우고자 스티브 앨런, 하워드 스턴, 해럴드 래미스, 존 캔디와 같은 코미디언과 제리 사인펠드, 스티븐 라이트, 개리 섕들링과 같은 신예 코미디언들에게 무작위로 전화를 걸어 인터뷰했다.[16][17][18][19]
2. 2. 1985-2003: 스탠드업 코미디와 초기 경력
저드 애퍼타우는 17세에 스탠드업 코미디를 시작했다.[14] 고등학교 졸업 후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시나리오 작법 프로그램에 등록하고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했다.[14][20] 대학교 재학 중에는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 출연자인 케빈 닐론을 초청하여 "코미디 나이트" 행사를 직접 조직하고 진행하기도 했다.[14] 2학년 때 대학교를 중퇴하고 코미디언 애덤 샌들러와 함께 아파트를 구해 같이 살았다.[14]애퍼타우는 개리 샌들링의 소개로 1991년 그래미 어워드의 작가로 고용되었다.[22] 이후 로잔 아놀드, 톰 아놀드, 짐 캐리의 코미디 스페셜을 공동 제작했다. 1992년에는 HBO의 ''15번째 연례 영 코미디언 스페셜''에 출연했고,[23] 폭스에서 방영된 ''벤 스틸러 쇼''의 공동 제작 및 총괄 프로듀서를 맡았다. 에미상을 수상했음에도 불구하고, 폭스는 1993년에 이 쇼를 취소했다.[24]
1993년, 애퍼타우는 HBO의 ''래리 샌더스 쇼''에 작가 및 컨설팅 프로듀서로 합류했고, 1998년 마지막 시즌에는 공동 총괄 프로듀서이자 에피소드 감독을 맡았다. 그는 개리 샌들링을 멘토로 여기며, 샌들링이 캐릭터 중심의 코미디를 쓰도록 영향을 주었다고 말한다.[21] ''래리 샌더스 쇼'' 작업으로 에미 후보에 6번이나 올랐다. 동시에 존 로비츠가 출연한 애니메이션 쇼 ''더 크리틱''의 컨설팅 프로듀서이자 작가로도 활동했다.[25]
1995년, 애퍼타우는 영화 ''헤비웨이트''의 공동 각본을 썼다. 1996년에 개봉한 영화 ''케이블 가이''의 각본을 제작하고 무명으로 다시 썼지만,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26] 이 영화의 프리 프로덕션 기간 동안 애퍼타우는 미래의 아내인 배우 레슬리 만을 만났다.[27] 이후 짐 캐리 주연의 영화 ''라이어 라이어''와 ''브루스 올마이티''의 각본을 무명으로 다시 썼다.[28] 애덤 샌들러 영화 ''해피 길모어''와 ''웨딩 싱어''의 각본을 무명으로 다시 썼으며,[26] 샌들러의 1996년 코미디 앨범 "What the Hell Happened to Me?"의 4개 트랙에 참여했다.[29]
1999년, 애퍼타우는 멀티 카메라 시트콤 파일럿 ''Sick in the Head''를 제작했지만, 폭스에 채택되지 않았다. 이후 수상 경력의 시리즈 ''프릭스 앤 긱스''의 총괄 프로듀서로 활동하며 여러 에피소드를 쓰고 연출했다. ''프릭스 앤 긱스''가 취소된 후, 애퍼타우는 ''언클레어드''의 총괄 프로듀서이자 제작자였다. 두 쇼 모두 빠르게 취소되었지만, ''USA 투데이''는 이 쇼들을 "단 한 시즌만 지속된 가장 호평받는 TV 시리즈 중 두 편"이라고 평가했다.[31]
2001년, 애퍼타우는 파일럿 ''노스 할리우드''를 제작했지만, ABC에 채택되지 않았다.[32] 2002년에는 폭스 파일럿 ''Life on Parole''의 각본을 공동으로 썼지만, 이 쇼 역시 채택되지 않았다.
2. 3. 2004-2015: 경력의 전환점
2004년, 애퍼타우는 윌 페렐 주연, 애덤 맥케이 감독의 장편 코미디 영화 ''앵커맨: 론 버건디 전설''을 제작했다. 이 영화는 흥행에 성공했으며, 2013년 속편인 ''앵커맨 2: 전설의 귀환''을 공동 제작했다.[33] 2005년 코미디 영화 ''40살까지 못 해본 남자''로 장편 영화 감독 데뷔를 했으며, 주연 배우인 스티브 카렐과 함께 유니버설 픽처스를 위해 각본을 공동 집필했다. 이 영화는 개봉 첫 주 박스 오피스 1위를 차지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1억 7,500만 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26] AFI의 올해의 영화로 선정되었고, 제11회 크리틱스 초이스 어워드에서 최고의 코미디 영화상을 수상했다.[34] ''40살까지 못 해본 남자''는 미국 작가 조합에서 각본상 후보에 올랐으며, MTV 무비 어워드에서 카렐이 코미디 연기상을 수상했다.[35] 2005년, 짐 캐리와 테아 레오니가 출연한 장편 코미디 영화 ''딕 & 제인, 바람난 커플''의 각본을 니콜라스 스톨러와 공동 집필했다. 이 영화는 전 세계적으로 2억 50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36]
2007년 6월에 개봉한 그의 두 번째 영화 ''사고 친 놈''은 로맨틱 코미디로 광범위한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애퍼타우는 ''탈라데가 나이츠'' 촬영장에서 이 영화의 초고를 썼다.[21] 한 백수와 미디어 인물(각각 로건과 헤이글)의 원나잇 스탠드가 원치 않는 임신으로 이어지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 영화는 비평적, 상업적으로 성공하며 애퍼타우의 새로운 주류 성공을 이어갔다.
2007년 8월, 애퍼타우는 세스 로건과 그의 작가 파트너인 에반 골드버그가 각본을 쓴 영화 ''슈퍼배드''를 제작했다. 로건과 골드버그가 십 대 시절에 만들었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애퍼타우는 2000년에 로건에게 이 영화를 그의 주연작으로 각본을 쓰도록 설득했다. 로건과 골드버그는 이 영화의 각본을 완성했지만, 영화 제작에 관심이 있는 스튜디오를 찾을 수 없었다. 애퍼타우는 로건과 골드버그를 고용하여, 자신이 더 상업적일 것이라고 생각한 마약] 액션 영화인 ''
2. 4. 2016-현재: 경력 확장
2016년, 저드 애퍼타우는 넷플릭스 텔레비전 코미디 시리즈 ''러브''(Love)를 제작하고 작가 겸 총괄 프로듀서로 참여했다.[74] 이 시리즈는 현대적인 관계를 다루며 넷플릭스에서 3시즌 동안 방영되었다.[75] 같은 해, HBO에서 방영된 ''크래싱''(Crashing)은 피트 홈스가 아내의 외도로 스탠드업 코미디언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세미 자전적 텔레비전 시리즈로, 애퍼타우가 총괄 프로듀서를 맡았다.[76] 2010년에는 폴 루번스 주연의 새로운 피위 허먼 영화 제작이 보도되었고,[77] ''피위의 빅 홀리데이(Pee-wee's Big Holiday)''는 2016년 3월 넷플릭스에서 개봉했다.[78]2016년, 애퍼타우는 첫 다큐멘터리 ''Doc and Darryl''을 제작하여 뉴욕 메츠 선수 드와이트 "닥" 굿든과 대릴 스트로베리의 경력과 관계를 다루었다. 이 작품은 ESPN의 ''30 for 30''(30 for 30)의 일부로 방영되었다.[79]
2017년, 그는 로맨틱 코미디 영화 ''빅 식(The Big Sick)''을 제작했다.[80] 이 영화는 쿠마일 난지아니와 그의 아내 에밀리 V. 고든의 실제 이야기를 바탕으로 했으며,[80] 500만 달러 예산으로 전 세계적으로 564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81][82] ''뉴욕 타임스''(New York Times)는 이 영화를 "기쁘고 너그러운 로맨틱 코미디"라고 묘사했다.[83] 2018년, 이 영화는 아카데미 각본상 후보에 올랐고, 크리틱스 초이스 어워드에서 최우수 코미디상을 수상했으며, 미국 영화 연구소로부터 올해의 AFI 영화상을 받았다. 또한, 스크린 액터스 길드 및 NAACP 이미지 어워드 후보에도 올랐다. 애퍼타우는 프로듀서 길드 오브 아메리카로부터 대릴 F. 자누크 상 후보에 올랐다.[84]
같은 해, 애퍼타우는 크리스 게서드의 HBO 코미디 스페셜 《Career Suicide》를 제작했다. 이 프로그램은 《The A.V. Club》에서 "덜 외로움을 느끼게 될 것"이라는 평을 받았다.[85]
2017년 12월, 애퍼타우는 첫 스탠드업 스페셜 ''Judd Apatow: The Return''에 출연했다. 이 스페셜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저스트 포 래프스 코미디 페스티벌에서 녹화되어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되었다.[86] 애퍼타우는 영화 ''재앙 아티스트(The Disaster Artist)''(2017)에 카메오로 출연했고,[87] 《뉴요커''(The New Yorker) 평론가 리처드 브로디는 이 역할이 애퍼타우가 자신의 영화에서 주연을 맡아야 한다는 "알림"이라고 생각했다.[88]
애퍼타우는 마이클 본피글리오와 함께 타이틀 밴드의 앨범 ''트루 새드니스(True Sadness)'' 제작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May It Last: A Portrait Of The Avett Brothers''를 공동 연출했다. 이 작품은 2018년 1월 HBO에서 방영되었고, SXSW 영화제에서 SXSW 관객상을 수상했다.[89][90]
2018년 후반, 그는 개리 섕들링의 삶과 유산을 탐구하는 HBO 다큐멘터리 ''개리 섕들링의 선 다이어리(The Zen Diaries of Garry Shandling)''를 연출했다.[91] NPR의 데이비드 비안쿨리는 이 다큐멘터리를 "삶의 의미에 대한 매우 감동적인 TV 프로그램"이라고 불렀다.[92] 애퍼타우는 이 작품으로 크리에이티브 아츠 에미상에서 뛰어난 다큐멘터리 또는 논픽션 스페셜상을 수상했다.
2020년 6월, 애퍼타우의 일곱 번째 연출작 ''스타튼 아일랜드의 왕(The King of Staten Island)''은 주문형 비디오로 출시되어 호평을 받았다.
2022년, 애퍼타우는 LGBTQ 배우들로만 구성된 최초의 주요 스튜디오 로맨틱 코미디 영화 ''브로스(Bros)''를 공동 제작했다.[93]
2023년, 애퍼타우는 단편 다큐멘터리 영화 ''밥 & 돈: 러브 스토리(Bob & Don: A Love Story)''에서 코미디언 밥 뉴하트와 돈 리클스의 우정을 기렸다.[94]
3. 작품 세계
애퍼타우는 스티브 카렐, 폴 러드, 세스 로건, 조나 힐, 제이슨 시걸을 포함한 일련의 배우들과 지속적으로 작업해 왔으며, 가까운 친구 및 가족들과도 함께 작업하는 경향이 있다.[21] 그는 종종 프로듀서 샤우나 로버트슨과 배리 멘델과 함께 작업했다.[26]
세스 로건은 배우, 작가, 프로듀서로서 애퍼타우의 8개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애퍼타우의 아내 레슬리 만은 5편, 윌 페렐은 5편, 폴 러드는 9편, 조나 힐은 7편, 제이슨 시걸은 4편(2편을 직접 집필하기도 했다)에 출연했다. 애퍼타우는 애덤 매케이와 윌 페렐이 집필한 4개의 프로젝트를 제작했다.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와 ''내 여자친구의 결혼식''의 주연인 크리스틴 위그는 5편의 애퍼타우 영화에 출연했으며, 만과 함께 애퍼타우의 주요 여성 협력자이다.
크리스틴 위그는 2012년 2월 애퍼타우에게 코미디 우수상을 수상하며 "그는 놀라운 협력자이자 지지자"라고 말했다.[127] 2011년 ''엘르''와의 인터뷰에서, 텔레비전 배우이자 작가인 레나 던햄은 애퍼타우의 작품에 대해 "''사고친 놈들''은 진정한 사랑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 그의 영화는 자기 자신에게 더 가까워지려는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그는 25살에 대한 이야기에 완벽하게 어울립니다. 왜냐하면 25살들은 그것에만 관심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들이 겪는 다른 문제들, 돈 문제, 직장에서의 갈등은 중요하지 않습니다."라고 말했다.[128]
rowspan=2 | |||||||||||||||||||||||||||||||||||||||||||||||||||||||||
---|---|---|---|---|---|---|---|---|---|---|---|---|---|---|---|---|---|---|---|---|---|---|---|---|---|---|---|---|---|---|---|---|---|---|---|---|---|---|---|---|---|---|---|---|---|---|---|---|---|---|---|---|---|---|---|---|---|
! | |||||||||||||||||||||||||||||||||||||||||||||||||||||||||
아이리스 애퍼타우 | |||||||||||||||||||||||||||||||||||||||||||||||||||||||||
마우드 애퍼타우 | |||||||||||||||||||||||||||||||||||||||||||||||||||||||||
스티브 배노스 | |||||||||||||||||||||||||||||||||||||||||||||||||||||||||
제리 베드놉 | |||||||||||||||||||||||||||||||||||||||||||||||||||||||||
제임스 프랭코 | |||||||||||||||||||||||||||||||||||||||||||||||||||||||||
칼라 갈로 | |||||||||||||||||||||||||||||||||||||||||||||||||||||||||
빌 헤이더 | |||||||||||||||||||||||||||||||||||||||||||||||||||||||||
조나 힐 | |||||||||||||||||||||||||||||||||||||||||||||||||||||||||
데이비드 크럼홀츠 | |||||||||||||||||||||||||||||||||||||||||||||||||||||||||
저스틴 롱 | |||||||||||||||||||||||||||||||||||||||||||||||||||||||||
레슬리 만 | |||||||||||||||||||||||||||||||||||||||||||||||||||||||||
크레이그 로빈슨 | style="background:#9EFF9E;color:black;vertical-align:middle;text-align:};" class="table-yes"|} || || || || || || |- | width=65|세스 로건 || || || || || || || || || || |- | width=65|폴 러드 || || || || || || || || || || |- | width=65|제이슨 슈워츠먼 || || || || || || || || || || |- | width=65|제이슨 시걸 || || || || || || || || || || |- | width=65|마틴 스타 || || || || || || || || || || |- | width=65|라우든 웨인라이트 3세 || || || || || || || || || || |- |} 3. 1. 주요 작품4. 사회적 영향력
2007년, 잡지 ''뉴욕''은 애퍼타우의 전 동료 마이크 화이트가 애퍼타우의 후기 영화에 대해 "실망했다"며, 특히 여성과 게이 남성을 다루는 방식에 반대했다고 보도했다. 화이트는 ''사고친 놈''에 대해 "어느 시점부터는 괴롭힘을 당하는 사람보다는 괴롭히는 사람들의 코미디처럼 느껴지기 시작했다"고 말했다.[95] 애퍼타우의 코미디 영화에서는 등장인물들이 "트랜스젠더"와 같은 LGBTQ 커뮤니티에 대한 비하적인 단어를 자주 사용했다.[96] 5. 개인사
미국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는 아카데미상 수상 각본가 아키바 골즈먼과 스티븐 개건의 후원에도 불구하고 그의 첫 번째 회원 가입 신청을 거부했다. 세스 로건은 애퍼타우가 "그냥 공짜 DVD를 원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103][31] 그는 2008년에 회원으로 가입했다.[104] 6. 수상 및 후보
저드 애퍼타우는 《래리 샌더스 쇼》 작업 중 5개의 에미상 후보에 올랐으며,[119] 크리틱스 초이스 텔레비전 어워드 후보에도 올랐다. 2007년에는 "Walk Hard" (영화용으로 쓰여진 최고의 노래 부문 후보)의 공동 작곡으로 그래미상 후보에 올랐다.[120] 2012년과 2013년에는 《걸스》로 프라임타임 에미상의 코미디 시리즈 부문 후보에 올랐으며, 《걸스》로 크리틱스 초이스 텔레비전 어워드 후보에도 올랐다.[119] 2012년, 애퍼타우는 할리우드 영화제가 주최한 제16회 할리우드 영화 시상식에서 할리우드 코미디상을 수상했다.[121] 또한 2012년에는 작가 길드 이스트로부터 코미디 우수상을 수상했다.[122] 7. 작품 목록
wikitable
7. 1. 영화저드 애퍼타우는 다양한 영화에서 감독, 제작, 각본을 담당했다. 1992년 ''Crossing the Bridge''의 제작을 시작으로, 1995년에는 ''디즈니 캠프''의 제작과 각본을 맡았다. 1996년 케이블 가이의 제작, 2004년 앵커맨 제작, 2005년 차고 지르기 제작, 40살까지 못해본 남자의 감독, 제작, 각본을 맡았다. 같은 해 뻔뻔한 딕 & 제인의 각본을 담당했다.2006년 텔라데가 나이트 : 리키 바비의 발라드 제작, 2007년 사고친 후에와 슈퍼배드의 제작을 맡았다. 2008년에는 포겟팅 사라 마셜, 조한, 스텝 브라더스, 파인애플 익스프레스의 제작과 각본을 담당했다. 2009년 퍼니 피플의 감독, 제작, 각본을 맡았고, 2011년 내 여자친구의 결혼식 제작, 2012년 디스 이즈 40의 감독, 제작, 각본을 맡았다. 2013년 앵커맨: 더 레전드 컨티뉴와 비긴 어게인의 제작을 맡았다. 2015년 나를 미치게 하는 여자의 감독과 제작을, 2020년 더 킹 오브 스태튼아일랜드의 감독, 각본, 제작을 맡았다. 2022년에는 더 버블의 감독, 각본, 제작을 담당했다. 7. 2. 텔레비전 드라마저드 애퍼타우는 1991년 ''톰 아놀드: 더 네이키드 트루스''(Tom Arnold: The Naked Truth)의 공동 프로듀서와 작가를 맡았다. 1992년에는 ''톰 아놀드: 더 네이키드 트루스 2''(Tom Arnold: The Naked Truth 2)의 공동 프로듀서와 작가를 맡았다. 같은 해부터 1993년까지 ''벤 스틸러 쇼(The Ben Stiller Show)''의 작가, 프로듀서, 공동 프로듀서를 맡아 13개 에피소드에 참여했다. 1993년 ''톰 아놀드: 더 네이키드 트루스 3''(Tom Arnold: The Naked Truth 3)의 공동 프로듀서와 작가를 맡았다.1993년부터 1998년까지 ''래리 샌더스 쇼(The Larry Sanders Show)''의 감독, 작가, 총괄 프로듀서 및 컨설턴트를 맡아 76개 에피소드에 참여했다. 1994년부터 1995년까지는 ''더 크리틱(The Critic)''의 작가와 컨설턴트를 맡아 21개 에피소드에 참여했다. 1999년부터 2000년까지는 ''프릭스 앤 긱스(Freaks and Geeks)''의 감독, 작가, 총괄 프로듀서를 맡아 18개 에피소드에 참여했다. 2001년부터 2002년까지는 ''언디클레어드(Undeclared)''의 감독, 작가, 총괄 프로듀서, 제작자를 맡아 17개 에피소드에 참여했다. 2010년부터 2011년까지 ''퍼니 오어 다이 프레젠트(Funny or Die Presents)''의 작가, 총괄 프로듀서, 제작자를 맡아 36개 에피소드에 참여했다. 2012년부터 2017년까지 ''걸스 (TV 시리즈)(Girls)''의 작가와 총괄 프로듀서를 맡아 62개 에피소드에 참여했다. 2015년 ''심슨 가족(The Simpsons)''의 "바트의 새 친구(Bart's New Friend)" 에피소드에 작가로 참여했다. 2016년 ''30 for 30''의 "Doc & Darryl" 에피소드의 감독과 총괄 프로듀서를 맡았다.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러브 (TV 시리즈)(Love)''의 감독, 작가, 총괄 프로듀서, 제작자를 맡아 34개 에피소드에 참여했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크래싱 (미국 TV 시리즈)(Crashing)''의 감독, 작가, 총괄 프로듀서를 맡아 24개 에피소드에 참여했다. 2018년 ''개리 섕들링의 선 다이어리(The Zen Diaries of Garry Shandling)''의 감독을 맡았으며, 2022년 ''조지 칼린의 아메리칸 드림(George Carlin's American Dream)''의 감독과 총괄 프로듀서를 맡았다. 애퍼타우는 2016년 ''한니발 뷰리스: 한니발 테이크스 에딘버그''(Hannibal Buress: Hannibal Takes Edinburgh)와 ''피트 홈스: 얼굴과 소리''(Pete Holmes: Faces And Sounds)의 총괄 프로듀서를 맡았다. 2017년에는 ''크리스 게서드: 커리어 수어사이드''(Chris Gethard: Career Suicide)와 ''제리 비포 세인펠드(Jerry Before Seinfeld)''의 총괄 프로듀서를 맡았다. 2018년에는 ''라우든 웨인라이트 3세: 생존 쌍둥이''(Loudon Wainwright III: Surviving Twin)와 ''피트 홈스: 더티 클린''(Pete Holmes: Dirty Clean)의 총괄 프로듀서를 맡았다. 2019년에는 ''게리 걸먼: 더 그레이트 드레시''(Gary Gulman: The Great Depresh)의 총괄 프로듀서를 맡았다. 1991년 ''짐 캐리: 부자연스러운 행위''(Jim Carrey: Unnatural Act)와 1992년 ''로잔 아놀드''(Roseanne Arnold)의 공동 프로듀서를 맡았다. 참조
[1]
웹사이트
Judd Apatow
http://www.tcm.com/t[...]
Turner Classic Movies
2020-05-27
|